본문 바로가기
새벽의 기적

미루는 습관에서 즉시 실천으로

by 덕인 2024. 8. 8.
반응형

왜 일을 뒤로 미루는가? 일을 뒤로 미루는 건 단순히 게으름 때문이 아니라 그 일에 관해 느끼는 여러 감정 때문인 경우가 많다. 게을러서 일을 뒤로 미룬다는 생각이 오히려 일을 더 많이 미루도록 만든다. 즉 시간 관리에 서툴러서가 아니라 과제에 대한 불안함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잘 다루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자신이 일을 미루는 방식이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렇게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고 이를 다루는 방법을 터득하면 더는 일을 미루지 않게 된다. 

왜 일을 뒤로 미루는가?

습관은 일을 미루지 않게 도와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이다. 어떤 행위가 습관이 되면 자제력이나 의지력을 발휘하지 않아도 된다. 나는 새벽 3시 30분에 일어나 글을 쓰겠다고 생각하지 않아도 몸이 알아서 움직인다. 이렇게 글쓰기를 습관화하자 글을 쓰려고 하면 떠올랐던 부정적인 감정도 더는 느껴지지 않게 되었다. 일을 할 때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이유를 파악했다면 이제 그 일을 어떻게 긍정적인 경험으로 바꿀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습관은 일을 미루지 않게 도와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이다.

자신이 어떤일을 미루고 있다면 스스로 게으른 사람이라고 자책하지 말자. 그 대신 평소와 다르게 일을 미루는 자신을 용서하자. 그런 다음 자신이 회피하고 있는 일에 대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본다. 어쩌면 그 일이 지루해서 자꾸 미루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고 이를 다루는 법을 터득하면 더는 일을 미루지 않을 수 있다.

그 일을 할 때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이유를 파악했다면 이제 그 일을 어떻게 긍정적인 경험으로 바꿀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미루는 일을 생각을 바꾸어 "당장 한다. 즉시 실천한다. 안되면 될 때까지 되면 더 잘될 때까지 한다."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이처럼 긍정적인 말을 습관화하는 것도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는 좋은 방법이다. 

부정적 감정 파악하기

1. 부정적인 감정 인식 및 관리

① 부정적 감정 파악하기

ⓐ 감정 일기 쓰기 : 하루를 마무리하며 느꼈던 감정들을 기록합니다. 미루고 있는 일과 관련된 부정적 감정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명상과 마음챙김 : 명상이나 마음챙김을 통해 현재 느끼는 감정을 인식하고 수용한다. 이는 부정적 감정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의 긍정적인 측면 찾기

2. 긍정적 경험으로 전환하기

① 일의 긍정적인 측면 찾기

ⓐ 의미 찾기 : 미루고 있는 일이 어떤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생각해 본다. 이를 통해 동기부여를 얻을 수 있다.

ⓑ 작은 목표 설정 : 큰 목표 대신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일의 루틴화

3. 습관 형성

① 일의 루틴화

ⓐ 일정 관리 : 매일 일정한 시간에 같은 일을 반복함으로써 습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매일 아침 30분씩 특정 작업에 할애한다.

ⓑ 트리거 설정 : 특정 행동을 시작하게 하는 트리거(신호)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커피를 마신 후 작업을 시작하는 식으로 루틴을 만든다.

긍정적 언어 사용

4. 긍정적인 자기 대화

① 긍정적 언어 사용

ⓐ 긍정적 확언 :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와 같은 긍정적인 확언을 반복한다. 이는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자기 용서 : 일을 미루더라도 자신을 비난하지 않고 용서한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게 한다.

즉시 실천

5. 즉시 실천

① 즉각적인 행동

ⓐ 5초 규칙 : 어떤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면 5초 안에 행동으로 옮긴다. 생각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빠른 실천이 중요하다.

ⓑ 작은 시작 : 작은 일부터 시작해 점차 큰 일로 확장한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작은 성취가 더 큰 동기부여를 가져올 수 있다.

지속적인 개선

6. 지속적인 개선

① 피드백과 조정

ⓐ 주기적인 검토 : 정기적으로 자신의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피드백을 반영한다. 무엇이 잘되고 있고,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 파악한다.

ⓑ 유연성 유지 : 계획이 예상대로 되지 않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한다. 상황에 따라 계획을 조정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해 본다.

생산적인 환경 만들기

7. 환경 조성

① 생산적인 환경 만들기

ⓐ 물리적 환경 정리 : 작업 공간을 정리하고 쾌적하게 유지한다. 이는 집중력을 높이고 부정적 감정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디지털 디톡스 : 집중을 방해하는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줄인다. 일정 시간 동안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차단하여 집중력을 높인다.

사회적 지원

8. 협력과 지원

① 사회적 지원

ⓐ 지원 그룹 : 비슷한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지원 그룹을 형성한다.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격려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 멘토링 : 멘토를 찾아 조언과 지지를 받는다. 멘토의 경험과 지혜는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고 일을 미루지 않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전략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인식하고 관리하며, 이를 긍정적인 경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습관 형성과 즉시 실천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사회적 지원을 활용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반응형